HOME |  Gallery | My Room |  Enjoying Art | Profile |  Guestbook |  Link   

 

 

 

 

 

 

 HOME > 갤러리

 

(제1회 개인전 평론)

새롭게 깨어나는 생명력
- 김연숙의 작품세계 -

김원민(미술평론가)

구각을 벗고 새로 태어남은 경이요 환희일 터다. 탄생-얼마나 가슴 울렁이고 여름날의 아침이슬처럼 투명한 말인가.
김연숙의 판화작품은 탄생을 위한 생명력의 꿈틀거림으로 집약된다. 나비 애벌레의 여러 모습에서, 꽃의 싹이 터옴을 표현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작업은 거듭나는 왕성한 생명력으로 살아 숨쉬는 것 같다.
그녀의 이런 판화작업은 벌써 3년째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이전 김연숙은 영혼을 주제로한 유화에 몰두해 있었다. 그녀의 일관된 작품제목인 'Spiritual Exercises', 즉 우리말로는 '영혼연습' 혹은 '영적인 연습'이라고나 할까, 하여튼 그녀의 말을 빌리면 "영혼으로 서리라"라는 철학적인 세계를 캔바스에 담아 왔다. 그러나 그것에서 한계를 느끼고 판화 쪽으로 옮기며 '나비 애벌레'의 이미지에 착상하게 되었고 최근의 '꽃 구성'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는 아직도 Spiritual Exercises의 사고의 틀 속에 있으면서 새롭게 깨어 나고자 하며, 깨어 있음을 생활자체로 하여 탄생하는 새 생명을 노래하고 있다.
그녀의 판화를 보면, 단순명쾌한 색채의 대비 속에 주제를 이루는 상징적 모티브를 배치한 뒤 점선이나 콤마, 작은 원 같은 구성으로 액센트를 준다. '애벌레'의 경우 전체적으로 넓은 색면과 주제의 대조, 디자인적인 색면과 무질서한 듯이 보이는 가는 선의 조합은 생명 탄생 직전의 환희를 느끼게 할 뿐 아니라, 연상적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다. 다시말해 주제를 강조하면서 원색조의 액센트를 가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밝고 따뜻하며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움을 느끼게 한다.
한편 최근의 작업인 꽃잎과 싹 터옴의 구성들은 은은한 갈색과 노란색조의 모노톤을 살리면서, 흐늘흐늘 녹아 내리는 듯, 춤을 추는 듯, 몽환적인 분위기를 내보인다. 그러면서 모티브를 적절히 배열하여 안정된 구도를 취하려는 배려도 보여주고 있다. 그녀는 애벌레와 꽃의 싹틈이라는 실체적 이미지에서 출발을 하고 있지만 그녀 나름의 조형의식을 추상형으로 승화시켜 꿈툴거리고 움직이는 느낌을 부각시키고 있는 셈이다.
요즘 그녀는 프로타쥬 기법을 즐겨 사용한다. 그러니까 나무판의 면이 올록볼록한 것 위에 화지를 대고, 오일스틱을 이용하여 문지른 것이다. 그러면 바탕에 피사물의 무늬가 베껴지는 등 작가의 의식이 작용하지 않는 차원에서 우연히 나타나는, 그 예기치 않았던 효과를 깔아 이를 조형언어로 변신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녀는 이런 작업을 통해 소재나 표현방식이야 어떠하든 꾸준한 작가정신을 기른다고 말한다.
사실 이는 옳은 말이다. 작가는 표현대상이 있든 없든 결과적으로 그 자신의 마음을 그린다고 한다. 김연숙의 판화들은 구체적인 대상이 없는, 비구상이나 반추상에 속하기 때문에 그녀의 표현행위는 마음의 작용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애벌레라든가 꽃의 싹틈이라든지 하는 구체성이 전혀 없는 상태는 아니지만, 대상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재현하는 작업이 아니므로 순수한 상태의 마음을 읽을 수 있고 표현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녀는 그럼으로 하여 자기 작품에 스스로의 이미지와, 자신을 감성적으로 받아내는 원색조의 색체이미지와의 조화를 이루어 내면서 통일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김연숙은 여성답지 않게 열심히 '파고 드는' 작가의 한사람이다. "지혜로운 미술이라니,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인가! 미술이란 도취와 광기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닌가!"라는 뒤뷔페의 어록을 음미해 보면, 그녀는, 광기까지는 못가도 최소한 '도취'의 상태로 끊임없이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찾아 나서는 정신적인 보히미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지만 그녀의 작업은 이 쯤에서 소재의 단순성, 표현상의 편협성, 그리고 고정된 듯한 사고, 총체적으로는 이미지의 폭을 넓히지 못하고 매너리즘의 벽 속에 갇혀 있는 듯이 보인다.
이를 과감히 부수어 나가야 할 것이다.


Breaking the tradition and new birth are absolutely marvelous and rejoicing.

Birth – How heart-beating and clean as a morning dew in hot summer day!

Kim, Yon-suk’s print works can be integrated in a movement of the life-Birth. From the cocoon of a butterfly to the blooming of a flower, her works is likely to breathe with survival power.

Her printing work has kept going for 3years. Before print works, she had focused on the oil painting under the theme of soul. Her consistent title of works were ‘spiritual Exercises’, according to her word, she has been trying to form her sophistical world - ‘Stand with spirit!’ on the canvas. But she faced to the barrier and turns into the printing and the image of the cocoon of a butterfly, and expresses her emotion in the ‘flower composition’.

She still stays in the frame of ‘Spiritual Exercises’, in the same time, is trying to breaking the tradition and imaging the awaken new life. With her works, we can easily find the symbolized motive in simple and explicit contrast of the colors and add a point, dot line, or a small circle for accent. In ‘Cocoon’, it shows not only rejoice of the birth but associative image with the disorder mixture of wide color face, contrast of the theme, chaotic stripes,

In other words, she emphasizing the theme and accentuating of the primary color, we can feel warm and free from restriction in general.

Otherwise the latest compositions of flowers and germinating buds express dreamlike as they are dancing, or    with light brown and yellow mono color tones. She tried to keep well-composed with fitting disposition of motifs. And the artist starts her works with stereoscopic image but they are sublimated in the abstract; therefore, it emphasizes wriggling and moving worms.  

Nowadays Kim, Yon-suk is frequently using frottage technique, that is, scrub the paper with oil stick after placing the paper on the coarse wooden plate. Then unexpected pattern and markings appear fortunately such as copying them of the plate, and the artist has tried to change those unexpected patterns and markings into the formative arts.

She said that she could enhance the artist spirit without the practicing materials and technique.

Actually it’s totally right. The artist paints her own image in mind whether there is visible objet or not. Her prints belong to nonrepresentationalism or semi-abstractionism since they have no visible objet. Although it has a little concreteness, such as a cocoon and a bud, the artist has been reading and expressing the innocent essence of the objet.

Through it, she builds the harmony with her art characteristic, the emotionally inspired colors.

Kim, Yon-suk is very enthusiastic print artist. Dubuffet said, “There is no art without intoxication. But I mean a mad intoxication! Let reason teeter! Delirium! The highest degree of delirium! Plunged in burning dementia!” I believe that she is an bohemian with dementia, even if it is not delirium, to seek a new express technique and her ideal objet.

However, her works is limited to simplicity of the object, illiberalness of technique and limitation of thought and become stereotyped in general.

This is her assignment to break it.

 

 

 

 

 

▲ TOP


Copyright 2001-2025 ⓒ KYSART.COM All Rights Reserved. E-mail:cleanlotus@hanmail.net
제주도 제주시 이도 2동 316 - 11 전원빌라 201호 ☎ (064) 753-6162 / 016-697-6162